테이블 정의서 | ||||||||||
주제영역명 | 테이블명 | REGISTRATION | 테이블명(한글) | 접수정보 | ||||||
테이블 정의 | 접수 정보 | |||||||||
번호 | 속성명 | 영문명 | 컬럼명 | NOT NULL | PK | FK | 타입 | 길이 | 컬럼 정의 | ETL support |
1 | 접수번호 | registration identification | REGISTRY_ID | Y | PK | VARCHAR | 14 | 각
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 기관코드 4자리 + 10자리 일련번호 '기관코드 4자리'는 '환자번호( 'HuBIS_Sam' 또는 'HuBIS_Tracker' 시스템의 제공자바코드) 중 앞 2자리 숫자와 사업구분코드 2자리를 의미함 ※기관코드 4자리는 'KBN 사업 및 참여은행(기관코드)'시트 참조 |
1)
기관코드 4자리 이후 번호는 일련번호로 인체자원은행에서 ETL 시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부여함 2) 사업구분코드 2자리는 원격지기탁시스템에서 부여하는 기관코드 '02' 부여 정책과 한 기관에서 2개 이상의 사업을 참여하는 기관의 중복을 없애도록 부여한 코드를 의미함 |
|
2 | 환자번호 | kbn donor identifcation | KBN_ID | Y | FK | VARCHAR | 8 | HuBIS_Sam' 또는 'HuBIS_Tracker' 시스템의 제공자바코드 | ||
3 | 접수일 | registration date | REGISTRY_DT | Y | DATE | 접수
날짜 'YYYY-MM-DD' |
검체가
은행에 접수된 날짜 = 인체 유래물 은행에 등록된 날 = Hubis-Sam 등록일 |
|||
4 | 검체 접수 당시 나이 | age at registration | AGE | Y | SMALLINT | 3 | (검체수집일 - 생년월일) 계산하여 만나이 입력 | (검체수집년도
- 생년월일(연도)) - (검체수집일자가 생일을 지나면 0(생일포함), 지나지 않았으면 1) ex) 검체수집일 2021-09-24, 생년월일 1942-08-02 인 경우 AGE : (2021 - 1942) - 0* = 79 *검체수집일이 생일을 지났으므로 0 (09/24 > 08/02) |
||
5 | 사업코드 | business code | BS_CD | Y | VARCHAR | 7 | KBN4A01
= 혈액, 알레르기질환 및 정상군 인체자원 특성화 은행 KBN4A02 = 염증성 장질환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구성 및 정보 표준화 사업 KBN4A03 = 심층 임상역학 표현형 기반 인체자원은행 특성화사업 KBN4A04 = 구강질환 극복 및 전신질환 관련 연구를 위한 구강유래물 바이오뱅크 KBN4A05 = 차세대 난치암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서브네트워크 KBN4A06 = 경인지역 네트워크 기반 고품질 호흡기알레르기질환 인체자원은행 사업 KBN4A07 = 간질환 및 정상군 특성화 인체자원 서브네트워크 구축 KBN4A08 =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지원 한국형 유방 및 여성생식기 질환 정밀의료 인체자원 네트워크 구축 KBN4A09 = 양방향 인체자원 수집체계 기반의 건강대조군 및 비뇨기종양 특화 인체자원 거점 네트워크 구축 KBN4A10 = 암 정밀의료 연구를 위한 차세대 바이오뱅크 운영플랫폼 구축 KBN4B01 = 육종암 분야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사업 KBN4B02 = 혁신형 만성뇌혈관질환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운영사업 KBN4B03 =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구축‧운영(종양성 질환) KBN4B04 =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구축‧운영(비종양성 질환) |
|||
6 | 사업연도 | business year | BS_YEAR | Y | INT | 4 | 인체자원 접수일의 수집년도 | |||
7 | 질병진단일 | disease diagnosis date | DX_DT | Y | DATE | 1)
정상인의 경우 질병진단일은 접수일과 동일 2) 병리검사가 있는 경우 병리검사결과 보고일 포함 가장 가까운 진단일 3) 병리검사가 없는 경우 해당 질환 최초 진단일 |
||||
8 | 질병진단코드 | disease diagnosis code | DX_CD | Y | VARCHAR | 7 | 질병진단코드(KCD)
: Hubis-SAM 입력 코드 동일 * KCD코드에서 소수셋째자리까지 표기하되, 소수점 이하자리가 없는 질환은 예외로 함 (예시, C22.0(간세포암종), C73(갑상선의 악성신생물)) |
|||
9 | 특성화질환 여부 | disease characterization status | DX_S | Y | INT | 1 | 해당
사업의 특성화질환 여부를 입력 1 = Yes 2 = No |
|||
10 | KCD version | KBN version | KCD_V | Y | INT | 1 | -
KCD 버전 (7 or 8) - Hubis-SAM 입력 version과 동일 |
|||
11 | 진단명 (K) | disease diagnois korea name | DX_K | Y | VARCHAR | 1000 | 원내 한글 진단명 | |||
12 | 진단명 (EG) | disease diagnosis english name | DX_E | Y | VARCHAR | 1000 | 원내 영문 진단명 | |||
13 | 질병분류 | disease diagnosis | DX | Y | INT | 2 | 코드 별도 정리 |